SQL이란??SQ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 조회, 수정, 삭제할 때 사용하고,데이터베이스 자체의 성능 유지관리, 최적화에 사용되는 언어이다. SQL의 종류 SQL은 크게 DDL, DML, DCL로 나눌 수 있고 각각의 개념을 알아볼 것이다.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에 사용하는 언어로, 테이블이나 컬럼 등을 생성, 수정, 삭제한다. DDL의 종류 CREATE : 테이블 생성ALTER : 기존 테이블 구조 변경DROP : 기존 테이블 삭제TRUNCATE : 기존 테이블 초기화RENAME : 기존 테이블 이름 변경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어 데이터 조작에 사용되는 언어로, 테이블의 데..
DB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DB는 구조화된 정보, 조직화된 데이터의 모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DBMS(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에 의해 관리된다.또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작성 및 쿼리에 SQL을 사용한다. DBMS란? DBMS는 데이터베이스와 최종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정보의 구성 및 최적화 방법을 검색, 업데이트 및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또한 DBMS는 데이터베이스의 감독 및 제어가 용이하여 성능 모니터링, 튜닝, 백업, 복구 같은 다양한 관리 작업이 가능하다. 주로 사용되는 DBMS로는 MySQL, Microsoft Access, Microsoft SQL Server, FileMaker Pro, Oracle Database ..
저번에 설치해놓은 VMware을 이용해 가상환경에서 mariaDB를 세팅해보자.VMware를 설치 안했다면 클릭 Ubuntu 설치 및 세팅1. VMware 설치Linux는 윈도우같은 운영체제의 일종이다. 따라서 윈도우환경에서 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가상머신을 이용해야한다.가상머신은 기존 컴퓨터의 자원을 조금씩 떼서 하나의 가상컴퓨cheezzapisse.tistory.com 1. 관리자 로그인 2. IP 설정 3. IP 설정 적용 4. 레포지토리 목록 갱신 apt update 04. mariadb 설치 apt install -y mariadb-server 05. mariadb 설정 vi /etc/mysql/mariadb.conf.d/50-server.cnf 27번 라인에 있는 설정을 다음처럼 변경 b..
모든 버전 관리 시스템은 브랜치를 지원한다.개발을 하다 보면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때가 있는데,이럴때 브랜치가 사용된다. 그래서 브랜치란 무엇인가브랜치는 커밋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포인터 같은 것이다. 기본적으로 Git은 master 브랜치를 만든다. 처음 커밋하면 이 master 브랜치가 생성된 커밋을 가리킨다.이후 커밋을 만들면 master 브랜치는 자동으로 가장 마지막 커밋을 가리킨다. 그럼 여기서 브랜치를 만든다면 어떻게 될까?아래의 명령어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 수 있다.아래의 버전은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고 바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git branch new_branch$ git checkout -b new_branch 그럼 지금 작업중인 branch가 어느것..
Linux에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명령어가 있다.모든 걸 다 외우긴 힘드니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들 위주로 정리해보았다.더 알고 싶으면 여기에서 찾아보는 걸 추천한다. 1. lsls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기본 형식으로 보여준다. ls -l :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함께 리스트업 한다.ls -a :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 2. cdcd :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한다.cd [폴더경로]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상대경로 or 절대경로 사용cd .. :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ex) ../.. 2단계 상위로 이동 3. pwdpwd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한다.4. rmrm : 디렉토리나 파일을 삭제한다.rm ..
이번엔 README.md 파일 작성하는 법을 알아보자 README.md 는 개발자가 이 프로젝트 또는 파일에 대한 설명을 적어놓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Github에서 자주 접하는데 들어가자마자 보이니 약간 프로젝트의 첫인상? 같은 느낌이다.사람도 첫인상이 좋으면 호감이 생기는 것처럼 우리도 아끼는 프로젝트의 README.md를 잘 꾸며주자. 그럼 시작하기전에 README의 확장자인 .md가 무슨 뜻일까?README는 markdown(마크다운언어) 라는 뜻이다.마크다운언어는 마크업언어의 일종으로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도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Github에서는 기능을 더 추가한 Github-Flavored Markdown 을 사..